컨텐츠상세보기

쇼펜하우어의 청춘독설 - 삶의 고통과 절망의 순간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커버이미지)
알라딘
쇼펜하우어의 청춘독설 - 삶의 고통과 절망의 순간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아르투르 쇼펜하우어 지음, 김욱 옮김 
  • 출판사가산출판사 
  • 출판일2011-12-21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3, 누적예약 0

책소개

거침없는 독설이 상처를 후벼 파고 아프게 하지만, 새살을 돋게 한다



쇼펜하우어의 인생론이 고통과 절망, 좌절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우리가 기억하고 그가 남긴 저서에서 인생의 해답을 찾으려는 이유가 뭘까? 그것은 쇼펜하우어가 인생 그 자체를 텍스트 삼아 삶의 고통을 철학으로 승화시켰기 때문이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절망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우리에게 들려주는 절망은 끝이 아니다. 하나의 몰락을 통해 새로운 가치가 잉태되고 태어나는 위대한 절망이다. 절망은 궁극의 희망이다.

이 책은 뜨거운 열정과 도전의 상징인 청춘들이 좌절과 시련 속으로 내몰리는 지금, 인생을 저주한 옛 철학자의 거침없는 독설이 그들의 상처를 후벼 파고 아프게 하지만, 곧 새살을 돋게 하고 진정한 용기를 줄 것이다.



그대의 눈에서 눈물이 쏟아지지 않고는

진리의 골짜기에서 길을 찾지 못한다.

그대의 마음이 추악한 이기심에 병들어 절망을 토해내지 않는 한,

그대의 영혼은 빛을 알지 못한다.

슬픔과 괴로움 속에서 기쁨을 찾지 못한 청춘은 인생의 지혜에 닻을 내리지 못하고

삶이라는 바다 위를 언제까지나 외로이 떠돌게 될 것이다.

고뇌의 기쁨을 맛보지 못한 청춘은 청춘이 아니다.



<본문 중에서>



우리 안에 감춰진 열망과 투지를 일깨워주는 독설



아르투르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1788~ 1860)를 흔히 염세주의 철학자라고 부른다. 그가 남긴 몇 권의 책과 60년 가까이 하루도 빠짐없이 써온 일기와 메모들을 보면 분명 극도의 비관론자였다. 그는 방관자적 시선으로 세계와 그 안에서 펼쳐지는 인간군상의 모습을 차갑고 날카로운 비판들로 난도질하는 것으로 지적인 충족을 느끼는 괴팍한 인물이었다.

쇼펜하우어는 이 책에서 삶의 고통을 철학적 주제로 삼아, 그 절망의 순간들을 여과 없이 증명하고 파헤치고 있다. 쇼펜하우어에게 고통은 소멸해야만 끝나는 아픔이 아니다. 그 아픔 끝에 새 생명이 탄생하고,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새로운 가치관이 인생에서 정립된다. 거칠고, 때로는 표독스럽기까지 한 그의 날카로운 언어들이 우리의 시대까지 살아서 약동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쇼펜하우어가 세상을 떠난 지 150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절망의 크기는 더욱 확대되었고 생존의 가치를 찾으려는 젊은이들에게 좌절과 억압, 공포만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 시대의 청춘들이 겪고 있는 절망과 분노를 어루만지기 위해 다시 쇼펜하우어를 의지해 본다.

이 책은 그의 저서인 , 편지, 일기 등을 토대로 새롭게 구성했다. 시끄러운 자명종 소리가 새벽의 무딘 단잠을 깨워주듯 실존의 고통에 몸부림치며 인생을 저주한 쇼펜하우어의 독설이 우리 안에 감춰진 열망과 투지를 일깨워줄 것이다.

저자소개

실존철학과 프로이트 및 융의 심리학에 영향을 끼친 쇼펜하우어는 부유한 상인 하인리히 플로리스 쇼펜하우어의 아들로 태어났다. 1793년 단치히가 프로이센 지배를 받게 되자 함부르크로 이주하였다. 쇼펜하우어는 가정교사로부터 교육을 받았고, 사립직업학교에 들어가 상인이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지만 진로 문제로 아버지와 갈등을 빚었다. 유럽 각국을 여행하다 1805년 함부르크에 돌아온 그는 상인 수업을 받기 시작했다. 그러다 같은 해 4월 20일 아버지가 상점 창고에서 떨어져 죽는 사건이 발생하자 아버지의 상점을 정리한다. 그러고 나서 평소에 원하던 김나지움에 입학한다.
1811년 가을 베를린 대학에 들어간 그는 볼프, 에르만, 리히텐슈타인, 크라프로트, 피셔, 바이스, 호르켈, 로젠타르, 피히테의 강의를 들었으며, 1813년 베를린 대학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해 리히텐슈타인으로부터 가르침을 받고 「충분근거율의 네 가지 뿌리에 대하여」를 쓰기 시작했으며, 1819년 초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를 출판했다. 1820년부터 베를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839년 현상 논문 「인간 의지의 자유에 대하여」로 왕립 노르웨이 학회에서 주는 상을 받았다. 1860년 9월 21일 폐렴으로 사망하여 프랑크푸르트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목차

1부 _ 오늘과 같은 내일이 다시 찾아오리라고 생각하지 마라

이 땅에 너의 안식은 없다

산이 눈앞을 가로막고 있다

아직 죽음은 아무것도 가져가지 않았다

죽음을 위한 변명

세상에 평등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

죽은 자들의 목소리가 우리를 지배하고 있다

내 안에 악마가 숨어 있다

삶은 죽음을 비굴하게 만들지 않는다

철학은 오늘의 절망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강해질수록 치명적인 상처를 입니다.



2부 _ 사랑이 있는 곳에 고통이 있다

젊은 날의 사랑은 강제적인 굴레다

결혼은 비굴한 복종이다

사랑의 표현은 고통이다

인간을 불평분자로 만드는 악당

우정은 친구의 영혼을 위한 헌신이다

허영보다 강한 교만은 없다

달은 태양이 자리를 비웠을 때 빛난다

불필요한 친구보다 적이 낫다

사랑이라는 착각에 대하여



3부 _ 신이 존재한다면, 나는 그가 되고 싶지는 않다

인간의 삶은 발정난 하복부가 전부가 아니다

지옥보다 더 지옥 같은 곳

독백과 기도마저도 거짓이 지배하고 있다

우리의 세계에 신이 필요한 까닭

시간을 부조리로 강요하고 실연을 당하게 만든다

소유는 의무의 시작이다

나보다 비참한 자들이 나를 행복하게 해준다

인생을 배울 수 있다고 착각하지 말라

신은 인생의 비상구들 중 하나



4부 _ 타인의 인생을 쳐다보는 동안 인생의 4분의 3이 흘러갔다

사회, 혹은 들개의 사냥터

인권은 범죄자의 도피처다

사회의 진보는 착취의 가면

동정과 베풂은 재앙의 시작이다

내 몸일지라도 예의를 갖추어라

잠들지 않는 자가 너를 지배한다

어린 날의 행복은 착각이다

공포를 이겨내는 힘, 자기기만

타인의 눈물에 속지 마라

하루살이처럼 살아온 탓이다



5부 _ 고뇌의 노예가 되기 위해 태어났을 뿐

고독을 발견하기 위해 허무가 주어졌다

인생은 죽음을 연기하는 것일 뿐이다

인내가 궁핍을 위로해주지는 못한다

거미줄 위에서는 거미만이 살아남는다

광기는 평범한 사람을 감염시킨다

인생보다 더 슬픈 비극은 없다

지성의 불빛에서 탐욕이 보인다

신체라는 그릇에 담긴 것은 욕망뿐

커튼 뒤에 숨어있는 너

한줄 서평